このホームページの著作権は統国寺に属します。文章、情報、動・静止画の転載を希望なさる場合は統国寺までご一報ください。
Copyright (c) Toukokuji All rights reserved.

 済州四・三は1948年4月3日の済州島での武装蜂起に端を発し、その武力鎮圧の過程でおよそ3万人の島民が犠牲となった悲劇である。
 武装蜂起は当時の米軍政が実施しようとしていた「南朝鮮単独選挙」すなわち南北分断に反対して決行されたが、警察や右翼団体による島民への横暴がその引きがねとなっていた。1947年の三・一独立運動記念日に警察の発砲により6名が犠牲になった「三・一節事件」以後、軍政への島民の反発が強まり、米軍政は警察を増派するとともに、朝鮮北部出身の西北青年会など右翼集団を投入して島民の抗議行動を封じようとした。島では右翼や警察による過酷なテロや拷問が横行し、武装蜂起はこれに対する反撃や自衛としても決行された。
 主として南朝鮮労働党員からなる蜂起勢力は350人ほどに過ぎなかった。しかし、この小規模の抗議行動に対する軍・警察の弾圧は、南北両政権の樹立(大韓民国8月・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9月)や麗水・順天での「軍人反乱」(10月)などを経るなかで、「焦土化作戦」といわれる凄惨な殺戮劇に発展した。1949年の半ばまでには中山間の村がほぼ焼失し、武装隊とその関係者はもとより、これとは関わりのない夥しい数の島民たちが虐殺された。
 1950年の朝鮮戦争の勃発と同時に、一旦は収束するかにみえた殺戮が再燃し、大邱や木浦など島外の刑務所に収監されていた人々や、要視察者として警察の監視を受け開戦後に「予備検束」された島民の大半が集団虐殺された。朝鮮戦争休戦後1954年の漢拏山の禁足令の解除を経て、武装隊の最後の1人が逮捕されたのは1957年である。その間、島の人口28万人の内3万人が犠牲となり、その8割以上は軍や警察の討伐隊によるものだ。
 済州四・三の悲劇と日本との関わりはきわめて深い。植民地期から済州島民の多くが大阪を中心に日本に渡航し、済州島と大阪は済州島民の生活圏として一体であったといっても過言ではない。討伐隊の軍や警察はおよそ植民地期の支配機構に起源を発し、武装隊は抗日運動の流れを引き継ぐ存在であった。さらに四・三を前後する混乱期に数多の済州島民が命がけで日本に逃れ、その後の在日社会の一角を形づくった。済州四・三の真相究明や名誉回復はこうした歴史を抜きにしてはありえない。
 済州四・三は「共産暴動」だとされ、これを語ることは久しくタブーとされてきた。沈黙の圧力はここ日本でも強かったが、1988年に東京で初の追悼集会が持たれ、大阪でも1998年に初めて慰霊祭が開催された。日本での済州四・三運動はその後も毎年追悼行事、当事者の声の収集、済州四・三を学ぶ現地への「慰霊の旅」の実施などを通してその活動は絶えることなく続けられている。
 済州四・三の勃発から70年、語ることそのものが闘いであった“死”の時代から、いま島の社会は甦り、新しい平和への歩みを踏み出している。その平和への歩みを共にしつつ、四・三の歴史の意味を深く刻み、国籍や国境を越えた心ある人々自身の手によって、済州四・三のすべての犠牲者を慰霊する碑を「済州四・三のもう一つの現場」であるここ大阪の地に建立した。

2018年11月18日
在日本済州四・三犠牲者慰霊碑建立実行委員会

 제주4・3은 1948년4월3일에 일어난 무장봉기가 발단이 되어 그에 대한 무력진압 과정에서 약3만 명의 도민이 희생된 비극이다.
 무장봉기는 당시 미군정이 실시하려 했던“남조선 단독선거”즉 남북분단을 반대해 들고일어난 것으로 도민들에 대한 경찰과 우익단체들의 횡포가 그 바탕에 있었다. 1947년의 3·1독립운동 기념일에 경찰 발포로 6명이 희생된“3·1절사건”이후 미군정에 대한 도민들의 반발이 거세지자 미군정은 경찰 수를 늘려 파견함과 동시에 조선북부출신의 서북청년회와 같은 우익집단을 투입해 도민의 항의 행동을 봉쇄하려고 했다. 제주도에서는 우익과 경찰들에 의한 가혹한 테러나 고문이 횡행하면서 이에 대한 반격과 자위 차원에서 무장봉기가 일어났다.
 주로 남조선노동당원으로 구성된 봉기세력의 규모는 350명정도에 불과했다. 하지만 이 소규모 항의 행동에 대한 군·경찰의 탄압은 남북에 각기 정권이 수립(대한민국 8월·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9월)되고 여수·순천에서의“군인반란(10월)”사건등을 거치면서“초토화 작전”이라 불리는 처참한 학살극 으로 발전했다. 1949년 중순까지 중산간 마을들이 거의 불타 없어지고 무장대와 그 관계자는 물론 무장봉기와 무관한 엄청난 규모의 도민들이 학살당했다.  1950년 6・25전쟁이 발발하자 한때 수습될 기미가 보였던 학살이 재연되어 대구나 목포 등 외지 형무소에 수감된 이들과 요시찰 인물로 경찰의 감시하에서“예비검속”된 도민들의 대부분이 집단 학살 되었다. 6・25전쟁이 끝나고 1954년의 한라산 금족령 해제를 거쳐 최후의 무장대가 체포된 것이 1957년이다. 그 동안 제주도의 인구 28만명 중 3만 명이 희생되었는데 그 80%이상은 군과 경찰 토벌대에 의한 것이었다.
 제주4・3의 비극과 일본과의 관계는 대단히 깊다. 식민지 강점기부터 수많은 제주도민이 오사카로 건너와 제주도와 오사카는 도민의 생활권으로 묶여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토벌대 군과 경찰은 거의 식민지강점기의 지배기구에 뿌리를 두고 있는 반면, 무장대는 항일운동의 흐름을 계승하고 있었다. 게다가 4・3을 전후한 혼란기에 수많은 제주도민이 목숨 걸어 일본으로 건너와 그 후의 재일동포사회의 한 축을 이루게 된다. 제주4・3의 진상규명이나 명예 회복은 이러한 역사와 뗄래야 뗄 수가 없다.
 제주4・3은“공산폭동”이라 규정되어 이를 이야기하는 것은 오랫동안 금기시되었다. 침묵의 압력은 이곳 일본에서도 강했지만 1988년에 도쿄에서 첫 추도집회가 열렸고 오사카에서도 1998년에 처음으로 위령제가 개최되었다. 일본에서의 4・3운동은 이후 매년 추도행사와 증언수집, 제주4・3을 배우는 현지답사“위령을 위한 여행”을 통해 지속적으로 이어져 왔다.
 제주4・3으로부터 70년. 이야기하는 것 그 자체가 싸움이었던“죽음”의 시대를 넘어 거듭난 제주 사회는 지금 새로운 평화 시대를 향한 발걸음을 내딛고 있다. 그 발걸음을 함께 하면서 4・3 역사의 뜻을 깊이 새기고자 국적과 국경을 뛰어넘어 뜻을 함께하는 사람들이 자기 손으로 제주4・3의 모든 희생자를 위령하는 비석을“제주4・3의 또 하나의 현장”인 이곳 오사카 땅에 건립했다.

2018년11월18일
재일본제주4・3희생자위령비건립실행위원회

このホームページの著作権は統国寺に属します。文章、情報、動・静止画の転載を希望なさる場合は統国寺までご一報ください。

Copyright (c) Toukokuji All rights reserved.

統国寺(古寺名:百済古念佛寺)
〒543-0063 大阪府大阪市天王寺区茶臼山町1-31
TEL:06-6771-5600 FAX:06-6771-1236